역류의 숨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06:41
본문
Download : 역류의 숨결.hwp
홉스는 인간의 이기적인 경향을 그의 사회철학의 출발점으로 삼았고, 프로이트는 인간행태의 밑바닥에 나르치시즘과 이기주의가 도사리고 있음을 지적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기대하는 사랑의 능력이 우리에게 있는지 사실 의문의 여지가 있다 history(역사) 를 통해서 보더라도 참된 사랑보다는 미움과 파괴를 인간들이 더 즐겨 온 증거가 적지 않다.
Download : 역류의 숨결.hwp( 69 )
설명
순서
·무제(1)
역류의 숨결
2.역류의 숨결






,법학행정,레포트
어떤 사람은 항상 미움을 받아야 하고, 어떤 나라는 항상 미움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어떤 ...
레포트/법학행정
2.역류의 숨결 ·무제(1) 어떤 사람은 항상 미움을 받아야 하고, 어떤 나라는 항상 미움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어떤 ... , 역류의 숨결법학행정레포트 ,
2.역류의 숨결
·무제(1)
어떤 사람은 항상 미움을 받아야 하고, 어떤 나라는 항상 미움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어떤 이는 항상 놀림의 대상이 될 때 그가 사랑스런 면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니지만, 그에게 속죄 양의 역할을 요구한다.이것은 인간의 잔인함의 표현인가? 우리는 우리가 서 있는 위치의 유리함을 즐기면서 진실을 외면하고 있다 이렇게 우리의 부끄러운 구석을 들추어 내는 것은 우리 행위의 정당성과 명분을 찾게 위해 가져야 되는 참된 사랑의 논리를 세우기 위해서이다. 에로스와 함께 타나토스를 인간의 본능의 하나로 생각하여 인간의 파괴적 경향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비록 인간이 이기적이라 할지라도 이기적, 즉 자기 자신의 사랑이란 자기 자신이란 과연 어떤 것이냐 하는 물음…(drop)
다.
참된 사랑의 논리를 위해 먼저 우리가 타인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