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정보화사회와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16:13
본문
Download : 고도정보화사회와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hwp






고도정보화사회와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Download : 고도정보화사회와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hwp( 32 )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고도정보화사회와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에 대한 입니다. 고도정보화사회와도서 , 고도정보화사회와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고도정보화사회와도서
순서
고도정보화사회와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
I. 들어가며
II. 정보사회와 도서관
1. 정보 environment(환경) 의 change(변화)양상
2. 정보화 environment(환경) 에 대응하는 상이한 견해들
3. 정보화 사회에서 도서관의 위상
III. 국내 외 정보화 추진 동향
1. 외국의 정보화 동향
2. 국내의 정보화 동향
IV. 정보화 기본 정책 방향
1. 정보화 정책의 必要性
2. 열린사회건설을 위한 정보화 기본 정책 방향
V. 정보화의 전략(戰略) 적 단계모색과 정보화 모형
1. 정보화 정책의 전략(戰略) 적 단계
2. future(미래) 도서관 정보화 모형
VI. 나오며
요약문
다가올 the twenty-first century에는 국가의 경쟁력이 그 국가의 정보력을 바탕으로 강화되기 때문에 세계
각국은 `정보고속도로`건설에 초점을 맞추고 국가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다아 그러나 우리
는 이러한 대세속에서 그 정보화의 대세가 공공적성격의 도서관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아 이것은 미국의 의회도서관, 영국의 대영도서관, 프랑스의 테제베와 같은 국가를 상징
하는 도서관에 비해 우리나라의 최대도서관인 국회도서관이나 서울대도서관이 초라하기 그
지없다는 것을 보아도 금방 알 수 있다아 국가의 정책이 공공정보의 the gist기관인 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 지원을 하지 않는 한 1970년대의 국가경제력 건설에만 힘쓴 것이 불과
30년도 안된 지금 이렇게 사회의 부政府패와 사회문제로 고통받는 것처럼 2000년대의 걸림
돌인 정보사회의 사회적문제에서 영원히 헤어나지 못하게될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은 세계
선진국들 사이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으며 특히 대학도서관들이 그 프로제트들의 중심을 이
루고 있다아 우리나라 또한 서울대의 사회과학정보센터나 홍익대의 전자도서관 등 많은 대
학들이 디지탈도서관구축에 들어갔다. 그러나 외국의 디지탈도서관구축계획은 처음 부터 많
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디지탈도서관구축은 출발에서부터 불신을 받고 있
다.
정보사회가 고도로 발달하게 되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장소에 구애없이 누구라도 얻
을 수 있는 `보편적 정보서비스`가 실현될 것이라고들 하지만 현실은 정보격차와 정보독점
으로 더 심하게 되어 사회적 불평 등이 심하되고 있다아 이러한 현실속에서 정보에 대한 접
근권…(생략(省略))
다. 이러한 연유는 과연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유와 현실을 파악하고 올바른
정보화 정책으로 열린사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한 도서관의 정보화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