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구 : 사회적 적절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7:33본문
Download : 욕구-사회.hwp
사회복지정책 욕구 노령연금 / (사회복지정책)
┗욕구에 의한 해결 → 해악(harm)을 줄이는 것
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사회복지정책 욕구 노령연금
욕구 : 사회적 적절성
순서
설명
① 사람들이 원하는 것 이상의 目標(목표) 달성과 객관적인 의미에서의 가치
Ⅱ. 욕구의 차원
② 目標(목표).
ex)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거래(desperate bidding)
⑤ 욕구의 해결은 자발적 선택 → 변경하기가 어렵다 → 상대적으로 다른 대안이 적다
- 욕구의 해결을 통해 증가되는 자율 : desire 만족행위를 할 수 있는 전제조건
- 시장기제에서 자원의 배분 : 주관적 → 실제로 그 사람들에게 만족을 주는지의 여부 불확실하다. ┏ desire에 의한 만족 → 주관적인 이득(benefit)
┗ 상대적으로 긴급하지 않다 : 충족이 늦게 되더라고 감소하지 않거나 단순히 연기될 뿐.
┏ 상대적으로 긴급하다 : 어떤 욕구가 늦게 충족될 때 그 충족된 가치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것.
‘욕구’(need)의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욕구와 유사한 concept(개념)인 ‘바라는 것’(desire)과의 차이를 concept(개념)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유용하다.
* 욕구와 바라는 것의 concept(개념) 차이 (욕구가 바라는 것보다 중요하다)
다.
⑦ ‘자율’(autonomy)의 측면
ex)┏ 아사 직전의 사람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 : 긴급
∴ 중요하다 (단순한 desire의 만족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③ 상대적 긴급성 측면
Ⅲ. 욕구의 대상 : 자격
④ 욕구 해결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目標(목표)를 이루는 데 필요한 전제조건 or 수단
by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어떤 재화를 새롭게 얻음으로써 얻는 이득(효용)의 증가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재화를 잃게 됨으로써 사라지는 손실보다 작다.
┗ 골프를 함으로써 누리는 효용 : 긴급하지 않음
Ⅱ. 욕구의 차원
Download : 욕구-사회.hwp( 32 )
⑥ 욕구의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치중립적인 점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 주관적 desire에 의한 자원의 배분이 진정한 복지를 충족시켜 줄 가능성이 적다.





目標(목표): 사회복지정책들 중 어떠한 욕구를 욕구로 인정하는가? 의 쟁점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자.
사회복지정책 욕구 노령연금 / (사회복지정책)
∴ desire 보다 욕구를 우선적으로 해결할 必要性이 많다.